요즘 물가가 장난이 아니죠? 가족과 여행을 계획하더라도 수십만 원은 생각해야 합니다. 곧 여름방학은 시작되고 어디든 가야 할 것 같은데 올여름은 국립공원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. 그동안 국립공원 내 야영장이 선착순이라서 예약하기가 정말 어려웠는데 올해부터 추첨제로 변경 되어서 당첨 가능성이 훨씬 높아졌습니다. 아름다운 자연에서 국립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예매 및 시설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야영장 예약(추첨제로 전면 변경)
전국 44개 야영장 예약이 추첨방식으로 운영됩니다. 성수기 3개월 동안 운영되던 추첨방식을 연중 확대하여 더 많은 국민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매짝수월 1일 14시에 추첨접수를 합니다. 인기있는 야영장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보다 힘들었는데 추첨제로 바뀌었다니 반가운 소식입니다. 똥손인 저에게도 기회가 생길 것 같습니다. 또한 추첨 응모 횟수도 2배로 늘어나서 월 2회 신청가능 했던 것이 월 4회 신청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. 동일 날짜에 중복신청도 가능하나 당첨은 1건만 가능합니다. 건당 2박 3일까지 신청이 가능해요.
매짝수월 1일부터 5일까지는 접수기간이니 달력에 꼭 알람설정하세요.
추첨결과 발표 후 미신청, 미결제, 결제이후 변심 등 빈자리 발생 시 예약가능 시점이 결제마감일 다음날 오전 10시 이후이니 만약 추첨이 되지 않았다라도 다시 한 번 도전할 기회가 생깁니다. 접수마감일이 주말인 경우 우러요일 10시까지 연장합니다.
2월5일 16시에 결과발표를 하면 결제기간은 2월 5일 부터 2월 6일까지 이틀간 결제를 해야하고 미결제로 인한 빈 야영장은 다음날인 7일 오전 10시부터 선착순으로 접수가 가능합니다.
접수시작일 | 결과 발표일 | 사용기간 |
2.1. | 2.5. | 3.1. ~ 4.30. |
4.1. | 4.7 | 5.1. ~ 6.30. |
6.1. | 6.5. | 7.1.~8.31. |
8.1. | 8.5. | 9.1.~10.31. |
10.1. | 10.10. | 11.1.~12.31. |
12.1. | 12.5. | 1.1~2.28. |
생태탐방원, 민박촌, 탐방로(선착순)
생태탐방원과 민박촌, 탐방로는 기존대로 선착순으로 예약을 받고 있습니다. 민박촌과 탐방로는 선착순으로 해도 괜찮지만 인기가 많은 생태탐방원은 야영장과 같이 추첨제로 변경되기를 희망했지만 아쉽게 기존대로 선착순으로 한다고 합니다. 탐방로 접수 시간은 10:00 개시하고 민박촌과 생태탐방원 개시시간은 14:00입니다. 1일이 주말 및 공휴일인 경우 다음 평일부터 접수합니다.
접수시작일 | 접수 시간 | 사용기간 |
1.2. | 탐방로 10:00 개시 민박촌 14:00 개시 생태탐방원 14:00 개시 |
2.1 ~ 2.28 |
2.3. | 3.1 ~ 3.31 | |
3.4. | 4.1 ~ 4.30 | |
4.1. | 5.1 ~ 5.31 | |
5.1. | 6.1 ~ 6.30 | |
6.2. | 7.1.~7.31. | |
7.1 | 8.1.~8.31. | |
8.1. | 9.1.~9.30. | |
9.1. | 10.1.~10.31. | |
10.1. | 11.1.~11.30. | |
11.3. | 12.1.~12.31. | |
12.1. | 1.1.~1.31. |
대피소(선착순 및 추첨제)
대피소는 기존대로 선착순과 추첨제가 혼용해서 접수를 받습니다. 사용기간에 따라 추첨제와 선착순 예약이 다르니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하고 접수하시기 바랍니다. 대신 추첨 응모 횟수가 야영장과 마찬가지로 월2회에서 월 4회로 2배 확대가 되고 추첨 후 빈자리 예약 소요기간이 8일에서 1일로 줄어들어 빈자리 발생 시 예약가능 시점이 단축되었습니다. 여약가능 기간이 15일, 30일 단위로 상이한 예약기간ㄴ을 1달 단위로 통일하여 여행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도록 개선하였습니다. 1일이 주말 및 공휴일인 경우 다음 평일부터 접수가능합니다.
예약구분 | 접수시작일 | 졉수시간 | 사용기간 |
선착순 | 1.2 | 대피소 10:00 개시 |
2.1.~2.28. |
선착순 | 2.3 | 3.1. ~ 3.31. | |
선착순 | 3.4 | 4. 1 ~ 4.30. |
국립공원 위치 및 특징
우리나라 국립공원은 19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2023년 팔공산 국립공원 지정까지 총 23개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국토면적의 약 7%인 6,852㎢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 다도해해상, 한려해상, 태안해안, 변산반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산악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좁은 영토 때문에 국립공원의 면적이 세계적으로 비교했을 경우 상당히 좁은 편입니다. 특이한 점은 누가 보아도 한라산은 국립공원일 것 같은데 한라산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속되어 있기 때문에 국립공원공단이 아닌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. 국립공원은 입장료가 기본 무료이고 야영장 및 생태탐방원 등의 숙박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나 예약하기가 정말 어렵다고 알려져 있습니다.
이렇게 올해 개정된 국립공원 예약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국립공원에서의 시간은 일상에서 벗어나 힐링을 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. 여러분이 국립공원을 방문할 때 이 정보들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환경을 보호하며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국립공원이 되길 바랍니다.
댓글